또래상담은 Friendship,
Counselorship,
Leadership의
세가지 정신을 추구합니다.
Friendship
먼저 다가가 친구가 되어 줍니다!
친구의 의미, 관계, 유형을 탐색하고
관계증진기술을 배웁니다.
Counselorship
친구의 고민을 진심으로
들어주고 대화합니다!
적극적 경청과 공감, 또래상담의
기본대화전략 등을 배웁니다.
Leadership
자기리더쉽, 공동체리더쉽을
통해 친구를 돕습니다!
자기관리, 다양한 문제해결, 중재에
대한 전략을 배웁니다.
프로그램 내용
또래상담 지도자 양성 |
기본교육, 심화교육, 특성화교육 |
또래상담자 양성 |
교육 및 교구재 지원 |
또래상담 연합회 |
지역 또래상담자들과의 교류 및 역량강화 교육 |
문의전화
청소년안전망팀 042-713-9128
활동사진
대상
초등~고등학생
기간
상반기(3월-7월), 하반기(9월-11월)
주제
생명존중, 학교폭력예방, 교우관계증진, 트라우마예방
진행회기
2회기
신청 및 문의
교육연수팀 042-713-9102
프로그램 내용
생명존중교육 |
·생명존중(자살·자해 예방)에 대한 기본지식 함양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이해
·고민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을 때 태도
·자살과 관련되는 스트레스 상황 인지
·자살 생각 대처 방법 습득
·도움 요청하는 방법 습득
|
학교폭력예방교육 |
·학교폭력의 종류에 대한 이해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 인식
·언어폭력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실시
·학교폭력 대처 방법 교육
|
교우관계증진프로그램 |
·갈등에 대한 이해
·갈등을 다루는 방법 습득
·친구에 대한 이해 및 새로운 점 발견
·타인에 대한 공감표현 및 수용
·친구 사이에서 바람직한 행동과 대화 방법 습득(나-전달법)
|
심리적 외상(트라우마) 예방교육 |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
·트라우마에 대한 신체적·정서적 반응 이해
·트라우마 대처 방법 습득
·도움 요청 방법
|
근거
「청소년기본법」 제8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교육 및 홍보), 제 52조(청소년 근로권익 보호 지원)
대상
9세~24세 청소년 및 청소년을 고용한 사업주
내용
- 근로 청소년의 고충 상담
- 근로 청소년에 필요한 맞춤형 집단상담 및 교육 운영
- 청소년 근로보호 캠페인 및 아웃리치
- 청소년멘토 활동 지원
문의전화
청소년안전망팀 042-713-9126
기간
매년 3월~12월
대상
학업중단 의사를 밝힌 학생, 학업중단위기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는 학생
프로그램 내용
-개인상담
-심리검사
-직업체험
-문화활동
-부모상담
-사후관리(추수상담, 외부기관 연계) 등
문의
상담복지팀 042-713-9130
기간
2월 ~ 11월
장소
센터 집단상담실
대상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보호자)
운영 방법
교육적인 성격이 강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강의, 토론, 실습)
운영 회기
4~6회기
신청 및 문의
교육연수팀 042-256-6584
교육명 |
회기 |
회기 주제 |
세부 내용 |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 |
1 |
다시 보는 나와 우리 가족 |
· 우리 가족 소개
· 나와 자녀의 관계는?
· 자녀에게 원하는 것
|
2 |
자녀 이해하기 |
· 마음을 열고 들어보기
· 감정 읽기
· 공감 연습
|
3 |
자녀의 자율성 키워주기 |
· 자율성 관련된 문제해결
· 청소년기 오해와 이해
|
4 |
자녀와의 갈등 해결하기 |
· 갈등 대처법 체크리스트
· 갈등 상황 이해하기
· 갈등 해결 4단계
|
5 |
자녀의 힘을 북돋우기 |
· 생각해 봅시다(좌절 극복)
·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자녀의 힘을 북돋우기
|
6 |
새로운 시작을 위해 |
· 장점 찾기
· 생각해 봅시다(실천 과제)
· 자녀에게 편지쓰기
|
교육명 |
회기 |
회기 주제 |
세부 내용 |
부모 정서조절 |
1 |
부모의 시작은 자기 이해! |
· 자기탐색
· 부모됨의 의미
|
2 |
우리 가족과 나의 정서 |
· 현재 가족 가계도 그리기
· 가족 안에서 조절하기 어려운 부정적 정서 찾기
· 정서조절의 중요성
|
3 |
정서의 A to Z |
· 정서조절이 어려운 구체적 상황탐색
· 가족발달단계
· 가족발달에서의 어려움과 대처방안 탐색
|
4 |
정서에 휘둘리는 부모, 정서를 다스리는 부모 |
· 역지감지(曆志感之)익히기
· 청소년기 및 중년기 발달 나누기
|
5 |
내 정서는 나의 것! |
· 프로그램 전체 회기 복습
· 나와 자녀의 정서 배터리
· 좋은 부모 선언문
|
교육명 |
회기 |
회기 주제 |
세부 내용 |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 부모교육 |
1 |
왜, 우리 아이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
· 우리 아이들과 학교폭력
· 다시 한번 일어서는 마음
· 학교폭력 피해자 부모역할
|
2 |
부모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1) -가정에서 도와주기- |
· 아이들 맘 속에는 어떤 일이?
· 부모와는 어떤 일이?
·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대화
· 부모와 함께 쓰는 시크릿 다이어리
|
3 |
부모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2) -학교생활 도와주기- |
·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부모의 다른 자세
(효과적/비효과적 방법, 학교생활 수칙 돕기)
|
4 |
부모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3) -학부모도 지칠 때- |
· 부모로서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기
·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 전략
· 전문적인 도움 받기
|
교육명 |
회기 |
회기 주제 |
세부 내용 |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부모교육 |
1 |
친.한.자. 원리 이해 |
· 자녀의 스마트 세상 이해하기
·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는 원인 이해
· 부모님의 스마트폰 관리·지도 방법 이해
· 효과적인 스마트폰 사용관리 지도 방법 이해
|
2 |
친. 원리 학습 |
· 스마트한 사용으로 인한 가족 내 갈등 이해
· 자율적 스마트폰 사용 자녀를 기르는 “친”원리 이해
· 자녀의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친”원리 배우기: 부자원리
· 자녀의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친”원리 배우기: 오감원리
|
3 |
청소년 발달 이해, 친.한.자. 원리 이해 |
· 청소년이 스마트폰에 빠지는 이유를 발달적/세대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 자율적 스마트폰 사용 자녀를 기르는 친.한.자. 원리 학습하기
|
4 |
스마트폰 기기 이해, 친.한.자. 원리 학습 |
· 스마트폰 사용 지도를 위한 스마트폰 세계 이해의 중요성 이해
· 스마트폰 개념 및 용어에 대한 이해
· 스마트폰 활용 콘테츠에 대한 이해
· 스마트폰 모니터링 App 실습 및 활용법 이해
|
대상
센터 종사자, 구센터 종사자, (청소년지도자 등)
기간
2월~11월
신청 및 문의
교육연수팀 042-713-9102